본문 바로가기
Daily/book

(책)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by 르미르미 2020. 3. 29.

(책) 대학원생 때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대학생이 진로를 결정할 때 취업과 함께 한번 쯤 고려해 보는 것이 바로 대학원 진학일 것이다. 

그리고 그런 고민을 거쳐 대학원에 진학을 한 대학원생이라면 이 길이 정말 나에게 맞는 길인가. 내가 잘 하고 있는 것인가. 그런 고민을 하게 된다. 

 

그런 고민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한번 쯤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지은이 소개

엄태웅 최윤섭 권창현 

엄태웅님은 로봇공학 딥러닝 연구자이다.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로봇공학을 전공하고 LIG넥스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에서 5년간 국방로봇과 의료로봇 개발을 담당하다 2014년 캐나다 워털루 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로 유학길에 올라 현재 대학원에서 딥러닝을 연구 중이다. 페이스북 '로봇공학을 위한 열린 모임'과 '텐서플로우 코리아' 그룹의 운영진으로 활동하였으며 유부트 <테리의 딥러닝 토크>를 통해 인공지능 기술 전파에도 열정을 보여왔다. 최근에는 세상 속의 인공지능, 로봇공학 연구실 ART LAB (AI & Robotics Tech Lab, http://artlab.ai) 프로 젝트를 시작, 대학원 밖에서 ART를 배우고 기업 문제를 풀 수 있는 독립연구자 모델을 개척중이다. 

 

최윤섭님은 컴퓨터공학, 생명과학, 의학의 융합을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을 창출하고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것을 화두로 삼고 있는 융합생명과학자, 미래의료학자, 기업가, 엔젤투자가, 에반젤리스트이다. 포항공대에서 컴퓨터공학과 생명과학을 복수 전공하였으며 동 대학원 시스템생명공학부에서 전산생물학으로 이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 연구원, 서울의대 암연구소 연구조교수, KT종합기술원팀장,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연구조교수 등을 거쳤고, 사이언스를 비롯한 세계적인 과학 저널에 1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권창현님은 사우스 플로리다 대학교 산업 및 경영 시스템 공학과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교통 시스템 분석 및 서비스 운영 문제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운영과학, 최적화, 게임이론 등을 이용한다. 카이스트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하였고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산업공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과학재단에서 커리어상을 수상하였고, 버팔로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젊은 과학자상을 받았다. 미국 운영과학 및 경영과학회의 교통과학 및 물류 분과 회원, 또 교통 연구 협회의 네트워크 모델링 분과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40여편의 논문을 발표하였으며 10여명의 박사 과정 학생을 지도하였다. 

세 명의 저자는 국내 대학원과 외국 대학원, 현직 대학원생과 교수, 학계와 산업계, 그리고 다양한 전공을 바탕으로 각자의 시각에서 대학원 생활과 연구자의 삶을 풀어낸다.

 

박사를 꿈꿔도 되나요..

취업이냐 진학이냐..

전공을 바꾸고 싶어요..

유학은 어떤가요.. 

지도교수 선택..

연구 주제 선택.. 

시간 관리 방법..

논문 쓰는 방법... 

그리고 대학원에 진학했을 때 한번 쯤 겪게 되는 멘붕의 시간.. 

 

대학원생이라면 한번 쯤 고민하는 그런 모든 내용들이 이 책에 담겨있다.

물론 이 책이 완벽한 바이블이 될 수 는 없지만 나는 큰 도움이 되었다.  

특히 서로 대학원생 이야기, 졸업한 연구자의 이야기,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교수의 이야기 이렇게 세 부분으로 되어있는 것이 너무 좋았다. 

뭔가 다양한 관점에서 내 대학원생활을 돌아 볼 수 있다고나 할까.. 

2012년 블로그?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글이었는데 2019년 책으로 출간되었다.

 

사실 책 내용은 이미 다 읽어 본 것이었지만 그때 했던 다짐들. 대학원생이 알면 좋을 그 노하우들..

모두 잊고 살아가고 있었는데 다시 마음을 다 잡게 되는 계기가 되어 좋았다. 

이 책을 소장하고 있으면서 종종 꺼내보면서 자기 반성의 시간을 가지는 것은 대학원 생활에 참 도움이 되는 일 같다.

그리고 모든 대학원 과정은 쉽지 않다는 것을 공감하며 위로도 받게 된다. 

나는 내가 쭈구리 같아 질 때,  게을러 질 때 마다 이 책을 꺼내 본다. 

참 좋은 책이다.  

 

 

"교수님, 저는 어떤 연구를 하면 되죠?"라고 묻는 것은 "교수님, 저는 무얼 궁금해 하는 사람이죠?"라고 묻는 것과 같이 답이 나오지 않는 질문이다. 또한 "교수님, 저는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할까요?"라고 해결책을 물으며 "교수님이 하라는 대로 했는데 다 안되던데요."라며 지도 교수를 비난하는 것은 연구의 주체가 본인이어야 함을 망각한 미성숙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지도 교수는 영어로 감독관 supervisor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조력자 advisor라고 불리기도 한다. -p.8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