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3 [면역학] Fc receptor 1. Fc 수용체란 무엇인가 항체가 바이러스를 잡는다고 면역반응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진짜 싸움은 그 다음부터 시작된다. 항체의 꼬리(Fc)가 면역세포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실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지휘관 역할을 한다. 이 연결고리를 담당하는 것이 바로 Fc 수용체이다.Fc 영역과 Fc 수용체의 정의항체(antibody)는 Y자 모양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원을 직접 인식하는 Fab 영역과 면역세포와 상호작용하는 Fc 영역으로 나뉜다. 이때 Fc(fragment crystallizable) 영역은 다양한 면역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Fc 수용체(Fc receptor)와 결합하여, 항체가 포착한 신호를 세포 수준의 면역 반응으로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Fc 수용체는 항체의 종류에 따라 결합 특성이 다르며, 각각 고유한 기.. 2025. 7. 10. [면역학] 자가항체: 면역의 착각이 불러온 생물학적 반란 1900년대 초, 파울 에를리히는 "면역계는 절대 자신을 공격하지 않는다"며 ‘horror autotoxicus’라는 개념을 세웠다. 그러나 단 50년 만에 적혈구에 붙은 자가항체가 실험실에서 관찰되며, 면역의 금기가 무너졌다. 면역계는 때때로 ‘나’를 ‘적’으로 오인하며, 이 착각은 질병으로 이어진다. 자가항체란 무엇인가자가항체(autoantibody)는 자기 자신(self antigen)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결합하는 항체이다. 보통 면역계는 자신과 외부를 구분하는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 을 통해 자가항체 생성을 막는다. 그러나 관용이 무너지면 자가반응성 림프구가 생존하고, 이들이 항체를 생성하여 체내를 공격하게 된다.자가항체는 모든 경우에 질병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일부는 병태생리.. 2025. 7. 10. [면역학] 패턴인식수용체(PRR) 종류와 기능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위험 신호’를 감지하는 첫 번째 관문, 패턴인식수용체를 파헤쳐보자!패턴인식수용체 개념패턴인식수용체는 병원체나 손상신호를 인식하는 수용체이다.외부 병원체(Pathogen)나 세포 손상 시 방출되는 분자 패턴(PAMP, DAMP)을 탐지인식 즉시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을 활성화하여 2차적 방어 기전을 유도 TLR (Toll-like receptor)TLR은 세포 표면 또는 엔도좀에 위치한 수용체이다.구조는 외부 도메인(Leucine-rich repeat)과 세포질 내 TIR 도메인으로 구성세포 표면 TLR1·2·4·5·6은 세균 성분을 인식엔도좀 TLR3·7·8·9는 바이러스 유래 핵산을 인식신호 전달 시 MyD88 또는 TRIF 어댑터를 사용하여 NF-κB·IRF.. 2025. 6. 29. [면역학] M1, M2 대식세포의 특징과 역할 우리 몸 속 ‘청소부’이자 ‘조율자’인 대식세포(macrophage)는 어떻게 서로 다른 성격(M1 vs M2)을 갖고 면역 반응을 조절할까? 대식세포란?대식세포(macrophage)는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의 핵심 세포로, 조직 내에서 병원체나 세포 잔해를 탐식(phagocytosis)하며 면역 항상성을 유지한다.원시대식세포(monocyte)가 조직으로 이동해 분화포식 작용을 통해 외부 침입자 제거 및 항원 제시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로 주변 면역세포 활성화대식세포 분극대식세포 분극(polarization)은 대식세포가 환경 자극에 따라 기능적으로 다른 두 유형으로 분화되는 현상이다.조직 미세환경(cytokine milieu) 신호에 반응하여 대식세포가 상황에 최적화된 기능을 .. 2025. 6. 28. [면역학] 10. 면역 기억: 백신의 비밀, 오래도록 기억하는 면역의 힘! 우리는 지난 몇 차례의 포스팅을 통해 항원 인식부터 T세포, B세포의 활성화, 그리고 항체 생성에 이르기까지 면역 반응의 복잡하고도 정교한 과정을 살펴보았다. 이 모든 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단순히 현재의 위협을 제거하는 것을 넘어, 미래의 침입에 대비하는 것이다. 바로 여기에 면역계의 가장 놀라운 능력인 **면역 기억(Immune Memory)**이 존재한다.이번 면역학 기초 시리즈의 마지막 여정에서는 면역 기억이 무엇인지, 어떻게 형성되며, 우리 몸을 어떻게 장기적으로 보호하는지 그 비밀을 파헤쳐 본다. 특히, 백신이 질병을 예방하는 과학적 원리가 바로 이 면역 기억에 있음을 깊이 있게 다룬다. 면역 기억이란 무엇인가?면역 기억은 면역 시스템이 특정 병원체나 항원에 대한 이전의 노출을 '기억'하여,.. 2025. 6. 27. [면역학] 9. 항체 – 병원체 중화를 위한 면역계의 특이적 무기 지난 편에서는 면역계의 정교한 지휘자이자 실행자인 T세포와 B세포가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살펴보았다. 이제 B세포가 생성하는 면역계의 핵심 무기, 바로 **항체(Antibody)**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볼 차례이다. 항체는 B세포가 분비하는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Ig) 단백질로, 특정 항원을 고도로 특이적으로 인식하고 제거하는 **체액성 면역(Humoral Immunity)**의 최종 실행자이다.이번 편에서는 항체의 정교한 분자 구조부터 각 종류별 고유한 기능, 그리고 병원체를 무력화하는 다양한 작용 기전까지 상세히 정리한다. 항체란 무엇인가?**항체(Antibody)**는 항원 특이적 B세포가 활성화되어 분화한 **형질세포(Plasma Cell)**가 분비하는 당단백질(glycopr.. 2025. 6. 26. 이전 1 2 3 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