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26 [ADC] 4. Payload(독성약물): 세포 내 작용을 위한 핵심 무기 항체약물접합체(ADC)에서 payload는 항체의 표적 인식 이후, 세포 내부로 유입되어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핵심 물질이다. Payload의 작용기전, 물리화학적 특성은 ADC의 치료 효능뿐 아니라 부작용 발생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Payload의 특성 요건 효과적인 payload가 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7가지 특성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1. 고세포독성 (High Potency)대부분의 ADC는 암세포 내로 진입하는 비율이 매우 낮아(IC50 기준 피코몰~나노몰 수준 필요)종양 항원 발현이 낮거나 불균일한 경우도 많아, 소량만 내부화되어도 암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을 정도의 강력한 독성 필요2. 낮은 면역원성 (Low Immunogenicity)Payload가 면역반응을 유발할 경우 치료 효과 .. 2025. 7. 31. [ADC] 3. Antibody Moiety – 항체 구조와 기능의 정밀 설계 ADC(항체-약물 접합체)에서 항체는 단순히 타겟을 인식하는 역할을 넘어서, 세포 침투 효율, 면역계 자극, 링커 및 페이로드 안정성 등 전반적인 치료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어떤 항체를 선택하고 어떻게 설계하느냐는 ADC의 치료 창(therapeutic window)을 결정짓는 근본적인 변수다.항체의 기본 구조와 역할 Fab (Fragment, antigen-binding) – 항원을 인식하는 ‘팔’Fab 영역은 항체가 항원에 직접 결합하는 부위다.항체 1분자는 2개의 Fab을 가지고 있어, 두 개의 항원에 동시에 결합 가능하다.Fab은 각각 VH (variable heavy), VL (variable light), CH1 (constant heavy 1), CL (consta.. 2025. 7. 31. [ADC] 5. Linker – 항체와 페이로드를 연결하는 기술의 핵심 링커(linker)는 항체(antibody)와 약물(payload)을 화학적으로 결합하는 연결 부위로, ADC의 약효와 안전성을 좌우하는 핵심 기술 요소다. 링커의 역할은 단순한 결합을 넘어서, 혈중에서는 안정성을 유지하면서도, 종양 세포 내부에서만 선택적으로 약물을 방출하도록 제어하는 데 있다. 따라서 링커 설계는 약물의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를 최적화하는 데 결정적이다.링커는 크게 cleavable(절단형)과 non-cleavable(비절단형) 두 가지로 구분된다.절단형 링커 (Cleavable Linker)특정 조건에서 분해되어 페이로드를 방출하는 구조Cleavable linker는 종양 세포나 종양 미세환경(TME)에서 관찰되는 pH, 효소 활성, 환원 상태(GSH 농도) 등의.. 2025. 7. 31. [면역학] Fc receptor 1. Fc 수용체란 무엇인가 항체가 바이러스를 잡는다고 면역반응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 진짜 싸움은 그 다음부터 시작된다. 항체의 꼬리(Fc)가 면역세포와 신호를 주고받으며, 실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지휘관 역할을 한다. 이 연결고리를 담당하는 것이 바로 Fc 수용체이다.Fc 영역과 Fc 수용체의 정의항체(antibody)는 Y자 모양의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원을 직접 인식하는 Fab 영역과 면역세포와 상호작용하는 Fc 영역으로 나뉜다. 이때 Fc(fragment crystallizable) 영역은 다양한 면역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Fc 수용체(Fc receptor)와 결합하여, 항체가 포착한 신호를 세포 수준의 면역 반응으로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Fc 수용체는 항체의 종류에 따라 결합 특성이 다르며, 각각 고유한 기.. 2025. 7. 10. [면역학] 자가항체: 면역의 착각이 불러온 생물학적 반란 1900년대 초, 파울 에를리히는 "면역계는 절대 자신을 공격하지 않는다"며 ‘horror autotoxicus’라는 개념을 세웠다. 그러나 단 50년 만에 적혈구에 붙은 자가항체가 실험실에서 관찰되며, 면역의 금기가 무너졌다. 면역계는 때때로 ‘나’를 ‘적’으로 오인하며, 이 착각은 질병으로 이어진다. 자가항체란 무엇인가자가항체(autoantibody)는 자기 자신(self antigen)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결합하는 항체이다. 보통 면역계는 자신과 외부를 구분하는 면역 관용(immune tolerance) 을 통해 자가항체 생성을 막는다. 그러나 관용이 무너지면 자가반응성 림프구가 생존하고, 이들이 항체를 생성하여 체내를 공격하게 된다.자가항체는 모든 경우에 질병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일부는 병태생리.. 2025. 7. 10. [면역학] 패턴인식수용체(PRR) 종류와 기능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이 ‘위험 신호’를 감지하는 첫 번째 관문, 패턴인식수용체를 파헤쳐보자!패턴인식수용체 개념패턴인식수용체는 병원체나 손상신호를 인식하는 수용체이다.외부 병원체(Pathogen)나 세포 손상 시 방출되는 분자 패턴(PAMP, DAMP)을 탐지인식 즉시 선천면역(Innate immunity)을 활성화하여 2차적 방어 기전을 유도 TLR (Toll-like receptor)TLR은 세포 표면 또는 엔도좀에 위치한 수용체이다.구조는 외부 도메인(Leucine-rich repeat)과 세포질 내 TIR 도메인으로 구성세포 표면 TLR1·2·4·5·6은 세균 성분을 인식엔도좀 TLR3·7·8·9는 바이러스 유래 핵산을 인식신호 전달 시 MyD88 또는 TRIF 어댑터를 사용하여 NF-κB·IRF.. 2025. 6. 29. 이전 1 2 3 4 ··· 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