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mmune system4

[면역학] 7. T세포의 종류와 역할 지난 편에서 항원 제시와 MHC 시스템이 면역 반응의 출발점임을 알아보았다. 항원이 MHC 위에 전시되면, T세포는 그 신호를 포착하고 본격적인 반응을 시작한다. 그러나 단순히 인식만으로 T세포가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T세포는 복잡하게 조절된 활성화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이를 통해 각각의 임무를 부여받는다.이번 편에서는 T세포가 어떻게 성숙하고, 어떤 종류로 나뉘며, 복잡한 활성화 과정을 거쳐 어떤 면역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T세포란 무엇인가?**T세포(T lymphocyte)**는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림프구의 일종이다. 골수에서 생성된 전구세포가 **흉선(thymus)**으로 이동하여 성숙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각 T세포는 자신만의 항.. 2025. 6. 24.
[면역학] 6. 항원과 MHC- T세포 면역 반응 개시의 필수 조건 면역은 우리 몸을 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는 복잡하면서도 정교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중심에는 **항원(Antigen)**이라는 분자가 존재하지만, 단순히 항원이 있다고 해서 면역 반응이 즉시 활성화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T세포의 경우, '그냥 항원'에는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이 중요한다. 항원이란 무엇인가?항원은 면역계가 인식하여 특정 반응을 유도하는 모든 분자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외부 병원체의 단백질이나 다당류가 대표적인 항원이며, 비정상적으로 변형된 우리 몸의 자가 단백질 또한 항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항원은 B세포와 T세포의 수용체에 의해 인지되지만, 이 두 가지 면역세포가 항원을 인식하는 방식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왜 T세포는 '그냥 항원'에 반응하지 않는가?.. 2025. 6. 23.
[면역학] 3. 면역세포 총정리 – 호중구, 대식세포, T세포… 면역세포는 병원체와 싸우는 주역이다.하지만 종류가 워낙 다양해 자칫하면 헷갈리기 쉽다.이번 편에서는 면역세포의 탄생, 분화, 역할을 한눈에 정리해본다.모든 면역세포의 출발점: 조혈모세포 (Hematopoietic stem cell)우리 몸의 모든 혈액 세포, 즉 적혈구, 백혈구(면역 세포), 혈소판 등은 모두 골수(Bone Marrow)에 있는 특별한 세포인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 HSC)에서 시작한다. 이 조혈모세포는 마치 모든 혈액 세포의 '어머니'와 같아서,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조혈모세포는 크게 두 가지 계열로 분화한다.골수계 전구세포 (Myeloid Progenitor): 선천 면역에 주로 관여하는 세포들로 분화한다. .. 2025. 6. 19.
[면역학] 1. 면역이란 무엇인가? "요즘 면역력이 떨어졌나 봐.""이 백신은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요즘 제약사는 면역항암제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면역이라는 말, 익숙하다.하지만 정말 면역이 무엇인지, 어떻게 작동하는지, 제대로 설명할 수 있을까? 이 시리즈는 그 시작점으로 돌아간다."면역이란 무엇인가?" 면역이란 무엇인가?면역(Immune system) 우리 몸에 침입한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기생충 같은 병원체나, 돌연변이로 변형된 암세포를 감지하고 제거하는 생체 방어 시스템이다.비유하자면, '내 것과 남의 것'을 구분하고, 위험한 침입자는 제거하는 보안 시스템이다. 면역계의 3가지 핵심 역할침입자 제거– 외부 병원체를 빠르게 감지하고 제거한다.비정상 세포 감시– 암세포, 감염된 세포 등 내부의 위협을 제거한다.기억 저장.. 2025. 6. 17.